연말이 가까워지면 불현듯 생각나는 존재가 있어요. 한동안 잊고 살았는데, 이맘때만 되면 잘 지내고 있는지 안부가 궁금해지는 존재예요. 바로 연.말.정.산!💥
연말정산은 1년 동안 낸 근로소득세를 따져 보고, 실소득보다 세금을 더 많이 냈다면 돌려받고 적게 냈다면 더 내는 절차예요. 사회 초년생이라면 소문만 들었지 그 실체가 실감이 잘 안 나겠지만, 준비 안 하면 세금 폭탄을 맞을 수 있어 얼마 남지 않은 기간에 마무리를 잘 하는 게 중요해요.📌
그래서 📋변경된 항목 포함 2021 연말정산 준비 가이드를 준비해봤어요.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진짜 늦은 거니까, 지금 바로 놓친 부분 체크하고 2020년 마무리 잘 해 보세요! 📆
2021(2020 귀속) 연말정산, 달라지는 것들 ✍🏼
해마다 연말정산 관련 사항이 조금씩 변경돼요. 미리미리 알아두고 대비해야 해요.
특히 2020년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기 부양 정책으로 소득공제율과 한도에 변화가 생겼어요. 코로나 위기 상황에 따라 시기별로 조금씩 차이가 나는데요. 잘 알아두어야 하겠죠?
1. 높아진 소득공제율
<변경 전>
연간 동일 소득공제율 적용
신용카드 15% / 직불·선불카드·현금영수증 30% /
도서·공연·박물관·미술관 이용금액(총 급여 7,000만원 이하) 30% / 전통시장·대중교통 사용분 40%
<변경 후>
사용월에 따라 소득공제율 상이
1~2월, 8~12월 ▶️ 전년 동일
신용카드 15% / 직불·선불카드·현금영수증 30% /
도서·공연·박물관·미술관 이용금액(총 급여 7,000만원 이하) 30% / 전통시장·대중교통 사용분 40%
3월 ▶️ 2배
신용카드 30% / 직불·선불카드·현금영수증 60% /
도서·공연·박물관·미술관 이용금액(총 급여 7,000만원 이하) 60% / 전통시장·대중교통 사용분 80%
4~7월 ▶️ 모든 금액 80%
신용카드·직불·선불카드·현금영수증·도서·공연·박물관·미술관·전통시장·대중교통 사용분 80%
2. 높아진 소득공제 한도
<변경 전>
총 급여 7,000만원 이하 → 300만원 / 7,000만원~1억2,000만원 → 250만원 / 1억2,000만원 → 200만원
<변경 후>
구간마다 30만원씩 인상
총 급여 7,000만원 이하 → 330만원 / 7,000만원~1억2,000만원 → 280만원 / 1억2,000만원 → 230만원
3. 그 외
-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총 급여액에서 제외
- 중소기업 직원이 낮은 금리 또는 무금리로 집을 빌렸거나 사서 얻은 이익은 근로소득에서 제외
지금 당장 해야 할 소득공제 팁은? 🔗
연말공제에 익숙하지 않아 아직까지 소득공제율을 높이는 방법을 몰랐다면,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어요! 당장 실천해서 연말정산이 세금 폭탄💣이 아니라 13월의 월급💸이 되기 위한 팁을 알아볼게요.
1. 카드 사용분 체크하기
올해는 특히 신용카드 등 카드 소득공제율이 높아졌어요. 1년 동안 카드로 쓴 비용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해보고, 연 소득의 25% 이상을 초과했는지 따져보세요.
연말정산 소득공제는 연 소득 25% 이상 사용분부터 적용되기 때문이에요. 많이 썼다고 좋은 것도 아닌데요. 소득공제 한도가 정해져 있기 때문이죠.
만약 확인해본 결과, 연 소득 25% < 카드 사용분 < 소득공제 한도 라면, 신용카드 사용액보다는 체크카드나 현금영수증이 유리하므로, 남은 기간 동안 최대한 사용해 보세요.
2. 연말정산 미리 보기 서비스 확인하기
이래저래 막막하다면 올 한해 얼마 정도를 썼고, 얼마나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을지 미리 확인해 보고 대처하는 것도 좋겠죠? 이럴 때 활용하라고 국세청에서는 ‘연말정산 미리 보기’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요.
지금까지 얼마나 사용했는지 확인하고 12월 한 달간 알차게 소득공제 혜택을 누려보세요!
[연말정산 미리 보기] https://www.hometax.go.kr/
3. 혹시 때를 놓쳤다면 5월에 다시 하기
만약 연말에 정신이 없어서, 연말정산에 대해 잘 몰라서 제대로 챙기지 못한 소득공제 혜택이 있다면, 5월에 추가로 신고를 할 수 있으니 걱정 마세요!
또, 아르바이트나 프리랜서로 일을 했다면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하는데요. 이전에 한 적이 있더라도 최대 5년 치 소득을 한 번에 기한 후 신고할 수 있어요. 이 부분이 복잡하게 느껴지신다면, 간단하게 삼쩜삼에게 맡기시면 된답니다.
처음엔 막막해도 하면 할수록 또 느는 게 바로 연말정산. 누가 빨리 익숙해져서 한 푼이라도 더 돌려받느냐가 관건이라는 거 잊지 마시고, 내년 3월에도 모두 부자~되세요! (샤랄라✨)
(아래 배너를 클릭하면 쉽게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)
댓글
댓글 0개